배경 및 국내 역학 무증상세균뇨

Urow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무증상 세균뇨는 흔하다. 세균뇨는 해부학적 혹은 기능적 요로계 장애가 있는 사람에서 빈도가 높으나 정상인에서도 종종 발견된다[2, 3]. 대개의 경우 무증상 세균뇨는 부차적인 영향이 없다[4].

오히려 무증상 세균뇨에 대한 불필요한 항생제 투여로 항생제 내성이 유발되고 약제 부작용이 나타나기도 한다[5]. 그러므로 항생제 치료는 이득이 밝혀진 사람으로 제한해야 한다[5].

여성은 나이가 들면서 무증상 세균뇨의 빈도가 증가하는데, 80세 이상 여성은 20%에서 무증상 세균뇨가 발견된다. 건강한 남성은 무증상 세균뇨가 60세까지는 드물다가 80세 이상에서 5~10% 발견된다. 무증상 세균뇨는 신부전이나 고혈압 혹은 사망률 증가를 초래하지 않는다[6].

지역사회 거주 여성에서 무증상 세균뇨의 원인 미생물로 대장균(Escherichia coli)이 가장 흔하고 그 외에 Klebsiella pneumoniae 등의 장내세균속과 장알균 등의 그람양성균이 흔히 분리된다[7,8]. 국내 입원 환자에서도 무증상 세균뇨는 대장균이 가장 흔하기는 하지만 지역사회 거주민보다는 빈도가 낮고, 중환자실에서는 항생제에 내성인 장알균, K. pneumoniae, Pseudomonas aeruginosa, Candida 등도 자주 분리된다[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