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단순포진감염

Urow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 신생아 단순포진감염의 위험요인에 대한 최근 역학적 연구에 의하면, 성기단순포진에 처음 감염되어 분만 시기까지 모체의 면역력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은 경우, 항체가 신생아에게 충분히 전달되지 않은 상태로 분만하는 경우가 신생아 감염의 가장 큰 위험인자이다. 이 경우에는 9명 중 4명에서 신생아 단순포진감염이 나타난 것으로 보고되었다.[1]
  • 이와는 달리 과거에 성기단순포진감염이 있었던 산모의 분만 시에는 성기에 병변이 있거나 단순포진바이러스의 무증상흘림 같은 재활성화 된 경우라도 질식분만한 경우 2% (92명중 2명)에서만이 신생아 단순포진 염이 나타났다.
  • 따라서, 성기단순포진 과거력이 있는 여성보다는 임신 후반부에 처음 발생한 모체 감염이 신생아 단순포진감염의 위험이 더 높다.[2]
 성기단순포진 산모에서 신생아 감염의 위험도
   ⋅임신 후반기에 산모의 원발성 성기단순포진감염이 있다면 질식분만시 신생아감염의 위험성이 50% 이상으로 증가한다. 
    신생아감염이 일어난 산모의 70% 이상에서 성기단순포진의 과거력이 없었다.
   ⋅재발성성기단순포진 산모의 병변이나 무증상흘림이 있는 경우에는 질식분만시 2-8% 정도의 신생아감염의 위험성이 있다.
  • 따라서 신생아 성기단순포진 감염의 예방은 성기단순포진 과거력이 없는 산모에서 임신후반기 감염을 막는 것과 분만시 산모 병변으로부터의 전파를 막는 것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 태아감염이 이루어지는 경로는 자궁내 5%, 분만전후 85%, 생후 10%로, 대부분의 경우 양막파수가 되거나 질식분만 시 산도에 존재하는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이 된다.[3][4]
  • 임상적으로, 신생아감염은 피부-눈-입 (skin-eye-mouth; SEM) (45%), 중추신경계 (CNS) (30%) 또는 파종성 염 (25%)으로 분류된다. 사망률은 각각 0%, 15%, 47%이고, 1년간 비정상적인 성장발달이 각각 2%, 70%, 25%에서 나타났으나, SEM감염된 소아의 30%이상에서 CNS질환으로 진행하는 등의 중복감염이 많아 정확하지 않다.[3][4][5]
  • 소수포성 피부병변은 SEM감염에서 83%, CNS감염에서 68%, 신생아 파종성감염에서는 61%가 관찰되었다.[6]
  • 진통이 있거나 양막파수가 일어났을 당시 원발성 또는 재발성 병변이 있는 경우에는 제왕절개술을 고려한다. 하지만 분만시점에서 단순포진병변이 없거나 전구증상만 존재한다면 제왕절개술은 필요하지 않다. (근거수준 4)
D   분만시점에서 산도에 명백한 성기단순포진 병변이 있다면 전문가와 상의하여 제왕절개술을 고려한다.
  • 대부분의 신생아 단순포진증상은 건강한 신생아가 병원에서 퇴원한 후 시작되고, 잠복기는 1-28일 (평균 4일) 정도이다.[3][4][5]
  1. Brown ZA, Wald A, Morrow RA, et al. Effect of serologic status and cesarean delivery on transmission rates of herpes simplex virus from mother to infant. JAMA 2003;289:203- 209.
  2. Brown ZA, Selke S, Zeh J, et al. The acquisition of herpes simplex virus during pregnancy. N Engl J Med 1997;337:509-515.
  3. 3.0 3.1 3.2 Kimberlin DW, Lin CY, Jacobs RF, et al. Natural history of neonatal herpes simplex virus infections in the acyclovir era. Pediatrics 2001;108:223-229.
  4. 4.0 4.1 4.2 Koskiniemi M, Happonen JM, Jarvenpaa AL, Pettay O, Vaheri A. Neonatal herpes simplex virus infection: a report of 43 patients. Pediatr Infect Dis 1989;8:30-35.
  5. 5.0 5.1 Whitley RJ, Corey L, Arvin A, et al. Changing presentation of herpes simplex virus infection in neonates. J Infect Dis 1988;158:109-116.
  6. Kropp RY, Wong T, Cormier L, Ringrose A, Embree J, Steben M, Canadian Paediatric Surveillance Program (CPSP). Epidemiology of neonatal herpes simplex virus infections in Canada.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STD Research (ISSTDR) conference 2005, Amsterd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