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상 또는 증후군에 따른 진료

Urow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일차진료에서 추천되는 성매개감염의 진료 과정

  1. 내원동기 파악
  2. 성매개감염의 위험인자와 역학에 대한 인식
  3. 간단한 병력과 성매개감염 위험도 평가
  4. 환자중심의 교육과 상담
  5. 신체검진
  6. 적절한 선별검사 및 진단검사의 선택
  7. 증상을 통한 임상진단 또는 검사실검사를 통한 원인미생물 진단
  8. 치료
  9. 필요시 공공기관에 신고와 파트너에게 통지
  10. 동반된 질환에 대한 치료 및 관련 위험인자의 관리
  11. 추적관찰

Algorithm 1: 성매개감염 일차진료 흐름도

Syndromic Algorithm1.png

성매개감염의 위험인자

  • 성매개감염인과의 성접촉
  • 성적으로 활동적인 25세 미만 남/녀
  • 새로운 성파트너 또는 지난 1년 동안 2명 이상의 성파트너
  • 현재의 파트너이외에 이전의 성파트너와의 관계를 지속하고 있는 사람
  • 피임을 하지 않거나 피임시 콘돔이외의 단독요법을 사용하는 경우 (경구피임약, 자궁내장치 등)
  • 주사제 약물사용자
  • 알코올이나 마약 중독자 (마리화나, 코카인, 엑스터시, 필로폰)
  • 안전하지 않은 성관계를 한 경우 (콘돔 등을 사용하지 않은 성관계, 구강, 항문 성교 및 가학피학증을 포함한 성관계와 함께 혈액접촉이 일어나는 경우)
  • 성접대부와 그들의 고객들
  • 돈이나 마약, 음식 등 생존을 위하여 성을 파는 경우
  • 길거리 청소년, 노숙자
  • 익명의 성파트너 (인터넷만남, 즉석만남, 광란의 파티)
  • 성폭행 피해자/가해자
  • 이전의 성매개감염의 과거력

성매개감염 위험도 평가

  • 성매개감염 위험인자를 가진 모든 환자들에서 좀 더 자세한 과거력과 병력을 청취해야 한다.
  • 다음은 성매개감염 위험도 평가를 위한 주요 질문들의 예시이다.


Syndromic 3 1.png
Syndromic 3 2.png

신체검진

  • 신체검진은 환자에게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신뢰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 어떤 환자들은 동일한 성별의 의료진에게 더 편안함을 느낀다는 것을 염두한다.
  • 모든 환자들에게 진료과정내내 비밀을 보장받을 수 있다는 확신을 주어야 한다.
  • 다음은 진료실에서 시행할 수 있는 신체검사 방법이다.


Syndromic 4 1.png

증상 또는 증후군에 따른 임상적 접근

  • 성매개감염의 증상 또는 증후군은 특정 원인균에 대한 특징적인 소견을 가지고 있으므로 진단 예측이 가능하다. 따라서 증상 또는 증후군에 따른 진료가 가능하며, 이는 미생물학적 확진이 나오기 전 첫 진료 시 적절한 경험적 치료를 할 수 있게 한다.
  • 하지만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은 Chlamydia trachomatis와Neisseria gonorrhoeae 같은 중요한 성매개감염들이 많은 비율로 무증상 또는 무징후를 보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무증상감염은 파트너의 성매개감염병이나 본인의 다른 성매개감염병 때문에 발견되는 경우가 많고, 진단을 위해서는 특별한 검사실검사가 필요하다.


성매개감염의 증상 또는 증후군에 따른 분류


  • 증상 또는 증후군에 따른 접근을 시도할 때 환자는 한 가지 이상의 성매개감염에 이환되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다음의 표들은 증상 또는 증후군에 따른 임상적 접근방법이다. 이 표들과 진료흐름도는 전체적인 윤곽을 나타내고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질환별 진료지침을 참조해야 한다.


Syndromic table2-1.png


Syndromic table2-2.png


Algorithm 2 : 요도염 진료흐름도


Syndromic Algorithm2.png


Algorithm 3 : 지속/재발성 요도염 진료흐름도


Syndromic Algorithm3.png


Syndromic table2-3.png


Syndromic table2-4.png


Algorithm 4: 질분비물 진료흐름도 (진단검사가 어려운 경우)


Syndromic Algorithm4.png


Algorithm 5: 질분비물 진료흐름도 (질경검사와 두손진찰이 가능)


Syndromic Algorithm5.png


Algorithm 6: 질분비물 진료흐름도 (현미경검사가 가능한 경우)


Syndromic Algorithm6.png


Syndromic table2-5.png


Algorithm 7: 생식기궤양 진료흐름도


Syndromic Algorithm7.png


Syndromic table2-6.png


Algorithm 8: 생식기사마귀 진료흐름도


Syndromic Algorithm8.png


Algorithm 9: 첨규콘딜롬 진료흐름도


Syndromic Algorithm9.png